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왕좌의 게임 시즌1
- 넷플릭스 설국열차
- 재난지원금 대형마트
- 왕좌의 게임 시즌3
- 정읍 구절초축제
- 넷플릭스 설국열차 줄거리 요약
- 에어컨 공기청정기능 효과
- 롤 파이크
- 알바천국 이력서
- 전주 재난지원금 사용처
- 슬의생 결말
- 순천 가볼만한곳
- 마트 진상
- 여름이불 추천
- 인간수업 지수
- SKT 통신비 할인카드
- 슬의생 결말 예상
- 넷플릭스 설국열차 2화 줄거리
- 넷플릭스 인간수업
- 롤토체스 싸움꾼 총잡이
- 슬기로운 의사생활
- 에어컨 공기청정기능
- 인간수업 규리
- 넷플릭스 설국열차 1화 줄거리
- 여름이불 소재
- 넷플릭스 어둠속으로
- 전주 덕진공원
- 롤
- 여름이불 종류
- 왕좌의 게임 시즌2
- Today
- Total
마트직원의 볼만한 생활정보
체크카드 소득공제 선물같은 연말정산 본문
아직 연말정산 하기에는 시간이 한참 남았지만 직장인들에게, 그리고 현대인들에게 카드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지요. 대개는 신용카드를 많이 쓰지만 과소비를 줄이고자 체크카드도 많이 사용하는데요. 알아보니까 공제금액이 너무 차이가 나더라구요. 그래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말씀드려보려고 합니다. 제일 좋은건 현금쓰고 그때마다 꼬박꼬박 현금영수증 받는거구요. 근대 현실적으로 매번 현금으로 쓴다는게 힘들잖아요. 차선책으로 체크카드가 대안이 되는거죠. 하지만 그래도 제생각에는 자신의 생활습관과 패턴을 고려한 소비에서 최대한 유리한 것을 찾는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일단 거두절미하고 체크카드 소득공제 얼마나 되는지 공제금액 계산식부터 보실께요.
신용카드와 비교했을때 거의 뭐 두배입니다. 말다했지요.
체크카드 소득공제 금액 = {체크카드 사용금액 - (총급여액 * 25%)} * 30%
신용카드 소득공제 금액 = {신용카드 사용금액 - (총급여액 * 25%)} * 15%
어떠세요. 와 이제 포스팅 끝났네요.ㅋㅋㅋㅋㅋ 두배나 되는 저 차이를 좀 보세요!! 예를 들어서 계산해볼께요. 만약에 연봉이 2500만원인 사람이 카드로 매월 100만원씩(많이도 썼네) 썼다면 1년이면 1200만원이지요. 그렇다면 체크카드로 했을때는,
{1200 - (2500 * 0.25)} * 0.3 = 172만5천원이구요. 신용카드로 했을때는 15%니까 86만2천5백원이네요. 공제금액이 이렇게 반절이나 차이가 나요. 물론 이렇게 막 80만원씩 환급받는다는 건 아니구요. 과세구간잡는 기준이 되는 소득에서 이만큼을 제외해주고 잡는다는 것이죠. 그럼 당연히 금액이 줄어들거고 그럼 과표구간도 적게 잡혀서 기준세금도 낮아질테니까요. 그럼 그만큼 환급받기 유리해지는 거죠.
제가 지금까지 신용카드를 썼던 이유는 체크카드에서 누릴수 없는 할인혜택들이 많아서였어요. 예를 들자면, 저는 한달에 책사는데 5만원 정도 드는데 카드로 결제하면 15%를 할인받아요. 또한 한달에 거의 70~80만원정도를 사용하는데 이금액이면 통신비 2만원을 할인받아요. 그러니 통신비 할인만해도 1년이면 24만원할인에 책값에서도 얼추 7~8만원정도는 아낄수 있으니까 나중에 환급받는 금액이 적거나 심지어는 없더라도 체크카드 쓰나 신용카드 쓰나 연말정산 산정에서는 별차이가 없겠더라구요.
제가 체크카드 소득공제 받기 위해서 이 금액들을 포기하면 저는 최소한 30만원 정도는 환급을 받아야 이익인 거잖아요. 그래서 저는 무작정 체크카드가 좋다기보다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따져보고 신용카드의 혜택과 비교해본뒤 결정하는 것이 옳다고 봐요.
놀이공원 50%할인도 현금내면 안해주잖아요. 3만원 할인받을 수 있는걸 3만원 더 내서 제값준다고 한들 연말정산때 3만원 환급받는것도 아니고.. 그래서 제 생각에는 뭔가 많이 잘 안사고 씀씀이가 굉장히 적은경우에는 차라리 현금들고 다니면서 현금영수증 받는것이 제일 좋고 씀씀이가 중간정도이거나 혹은 현금들고 다니기가 참으로 귀찮다면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병행해가면서 쓰고 씀씀이가 꽤나 높다면 아예 혜택좋은 신용카드로 쭉 미는것이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13월의 보너스라고도 할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는 연말정산이지만 체크카드 소득공제 노리고 주구줄창 썼는데 생각보다 많이 안나오면 그동안 할인받을 수 있던 놓친 혜택들이 너무 아깝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거든요.
제일 좋은 방법은 역시 뭐니뭐니 해도 아끼는 거죠. 소비규모 자체가 적은것 보다 좋은건 없지요. 그러나 그게 안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들을 이용해서 최대한 혜택보려는 거구요. 제주변에도 신용카드는 괜히 외상으로 막 긁는느낌이라 더 사게된다고 체크카드만 쓰는사람도 있어요. 자신을 절제하는 방법중 하나라고 생각해서 저는 찬성해요. 규모있게 사용할 수 없다면, 이런저런 혜택들이 비슷하거나 라이프스타일에 상관없는 혜택이라면 오히려 현금과 체크카드쪽이 나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모쪼록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각종 카드들의 혜택을 잘 비교하셔서 사용하시구요. 현금영수증 발급도 그저 핸드폰번호만 불러주면 되니까 되게 편하잖아요. 그것도 귀찮으면 뭐 현금영수증 카드를 국세청에서 발급받아서 돈랑 같이 슥~ 건네주면 되구요. 세금폭탄 맞는거 좋아하는 사람 없을거예요. 이번 연말정산은 보너스가 될수 있게끔 남은 기간동안 달려(?)보자구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통장 은행 수익률 best 10 (0) | 2018.05.03 |
---|---|
채권형 펀드 연금저축 하기에는 제일 좋네요 (0) | 2018.05.02 |
펀드 수익률 조회 유형별 best 50 (0) | 2018.04.30 |
비트코인 폭락 아무리 생각해도 당연한 이야기 (2) | 2018.04.29 |
두루누리 지원대상 영세사업자 구원하는 한줄기 빛 (0) | 2018.04.27 |
랩어카운트 비과세 ISA 비슷하면서 다르네요 (0) | 2018.04.26 |
펀드환매수수료 기간 따져보고 타이밍 맞추면 훨씬 조금냅니다 (0) | 2018.04.25 |
isa 계좌 다음주에 신청하러 갑니다 (0) | 2018.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