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왕좌의 게임 시즌3
- 에어컨 공기청정기능 효과
- 롤토체스 싸움꾼 총잡이
- 왕좌의 게임 시즌2
- 슬기로운 의사생활
- 왕좌의 게임 시즌1
- 알바천국 이력서
- 슬의생 결말 예상
- 넷플릭스 설국열차
- 정읍 구절초축제
- SKT 통신비 할인카드
- 넷플릭스 설국열차 2화 줄거리
- 여름이불 종류
- 에어컨 공기청정기능
- 넷플릭스 인간수업
- 인간수업 지수
- 인간수업 규리
- 넷플릭스 어둠속으로
- 슬의생 결말
- 여름이불 소재
- 롤 파이크
- 넷플릭스 설국열차 1화 줄거리
- 롤
- 여름이불 추천
- 전주 재난지원금 사용처
- 순천 가볼만한곳
- 넷플릭스 설국열차 줄거리 요약
- 재난지원금 대형마트
- 마트 진상
- 전주 덕진공원
- Today
- Total
마트직원의 볼만한 생활정보
펀드 수익률 조회 유형별 best 50 본문
혹시 여러분도 그런 생각 한번쯤 해보신적 있으신가요?? 저는 20대 때 가끔씩은 제가 25억의 자산가로 사는 공상을 했어요. 제가 왜 25억을 생각했냐면 그때 신문에서 부자의 기준이 자산 25억이라고 하더군요. 요즘도 그건 크게 변하지 않는것 같지만요. 아무튼 그때당시에는 은행적금이자 4% 였을때였어요. 즉, 25억을 은행에 넣어두면 매년 1억의 이자가 생기는거죠. 이건 뭐 로또가 따로없죠 ㅎㅎ
그리고 저는 원금 한푼 안건들이고 매년 받는 은행이자 1억으로 사는 거죠. 그리고 사람이 돈이 있어도 일이 없으면 무기력해지기 때문에 마트직원이 생각할 수 있는 일은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1억정도 투자해서 작은 편의점을 운영하며 세월아 네월아 하면서 노후를 보내는 상상을 하며 입가에 미소를 짓곤 했어요.
하지만 오늘날 우리의 소중한 친구 은행이자는 높아봐야 2%입니다. 대개는 1.5% 정도 되지요. 그래도 많은 사람들이 적금을 하는데요. 솔직히 다른 대안이 없어서 적금을 드는 경우가 많아요. 그것도 그냥 이자는 둘째치고 정기적으로 돈을 떼어 모은다는 개념에서 적금을 하지 누가 이자때문에 하지는 않지요. 그렇다고 주식이나 펀드 부동산 쪽에는 아는게 없고 알더라도 행여 원금에서 손해볼까봐 섣불리 하지 못하는 거구요.
그래서 오늘은 그래도 부담없이(?) 할수 있는 펀드에 대해 말해보려고 합니다. 펀드도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주식형 채권형 ETF 이렇게 3가지에 대해서 말해보려 합니다. 펀드다모아 라는 사이트에 가시면 펀드 수익률 조회 가능해요. 높은것부터 50위까지 내림차순으로 나와있지요. 먼저는 주식형 펀드입니다.
위험탭을 보니 높은위험이 제일 많네요. 하긴 위험이 높을수록 고수익이긴 하지요. 그러나 그만큼 원금손실에 대한 부분도 감수해야해요. 수익률 자체만 보면 주식형 펀드보다 그냥 주식거래 자체를 하는 것이 더 좋지만 직장다니면서 매일같이 주식관련 공부를 하며 직접투자한다는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지요. 그래서 제생각엔 고수익을 얻고 싶으나 직접 건드릴수는 없는 분들이 주식형펀드 하시는것 같아요. 원금손실의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말이죠.
투자금액의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주식형펀드입니다. 시황에 따라서는 90% 이상을 투자하기도 하지요. 역시나 전문 PB께서 운용을 잘해주셔야 되니 투자할때 제발 역량있는 좋은분께서 맡아주시기만을 바랄뿐입니다. 제생각엔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 주식형펀드 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목돈을 만들려면 당연히 첫째도 안정성 둘째도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피같이 모은 전재산에 가까운 돈을 손해볼수는 없잖아요. 잃어도 되는 돈은 없다지만 그래도 여유돈으로 해야 하는게 주식형펀드라고 생각해요. 다음엔 채권형입니다.
수익율이 주식형과 확~~ 차이나지요?? 보다 안정성 있기 때문에 수익율도 낮습니다. 하지만 제생각에는 목돈 만들기 위해서 펀드를 한다면 채권형펀드가 제일 이상적이지 않을까해요. 왜냐하면 여유돈이 아닌 자금이니까 최대한 안전해야 되는데 그렇다고 은행에 넣어두자니 너무 이율이 적은 상황에서 선택해야 하니까요. 은행이자 2%보다도 더 높은 수익중에서 제일 안전한건 그래도 채권형펀드가 아닐까싶습니다.
그리고 위에 표를 보시다시피 채권쪽에서 고수익을 낸 펀드들도 낮은위험 보통위험으로 구분되니까 보다 안심하고 할 수 있겠지요. 펀드 수익률 조회 토탈에서 보면 ETF 수익이 제일 높지만 1년 수익률 10%만 되도 저는 매우 땡큐라고 생각해요. 은행에 2천만원 넣어놔도 1년이자 고작 40만원인데 10%만 잡아도 200만원이잖아요. 게다가 보통위험이면 해볼만 한듯 해요. 물론 수익률만 보고 덤비는건 무모한 일이지요. 확정수익률도 아니니까요.
채권형펀드는 투자금액 60% 이상을 국공채 회사채 등의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예요. 주식에 투자하지 않으니까 보다 안전하지만 그만큼 수익은 낮지요. 채권이라는 것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은행 회사 등등에서 자금을 모으기 위해서 발행하는건데 사실 국가채를 샀다고 해서 100% 안전하지는 않아요. 투자는 모두 불안정성을 동반하니까요. 다음은 ETF 입니다. 매년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펀드죠.
ETF 펀드는 상장지수펀드라고 하는데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하도록 설계한건데요. 이런걸 인덱스펀드라고 하지요. 암튼 기본개념은 그렇다치고 이게 왜 인기가 있냐면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해요. 원래 주식이나 펀드는 거래하고나서 2~3일 정도 지나야 현금화가 되거든요. 게다가 수수료가 0.5% 정도로 매우 저렴하고 거래세가 면제되요. 보통 주식형펀드는 2.5~3% 정도거든요. 심지어는 주식처럼 배당금까지 받습니다.
그리고 지수를 따라가기 때문에 주식처럼 하나의 회사를 선택해서 사는게 아니라 나름 분산투자가 되는거구요. 채권형보다는 수익이 높구요. 물론 이것도 마냥 안전한건 아니예요. 위에 표에서 보시다시피 171%의 수익은 엄청나게 부럽지만 매우높은위험군에 포함되어 있어요. 목돈만들려는 사람들은 간떨려서 못해요. 전재산에 가까운 피같은 돈인데 하루하루 모니터만 보게 될겁니다.
그밖에도 펀드 종류는 엄청 많아요.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MMF , 주식과 채권에 반반씩 투자하는 혼합식펀드 , 공모형 사모형 등등 종류도참 많아요. 하지만 개미투자자가 많이 하는건 위에 3가지라고 생각이 되네요. 펀드 수익률 조회 방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올려봤는데 꼭 기억하셔야 할것은 무작정 수익률만 보고 덤비면 안된다는 것!! 공부도 많이 해야되고 꼼꼼히 비교도 해보셔야 해요. 아무쪼록 은행이자 쥐꼬리만한 이 저금리 시대에 펀드가 조금의 희망이라도 되길 기원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제품 전략 업계 1등을 따라하는 것은 성공하지 못한다 (0) | 2018.05.08 |
---|---|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아는만큼 안당한다 (0) | 2018.05.05 |
isa 통장 은행 수익률 best 10 (0) | 2018.05.03 |
채권형 펀드 연금저축 하기에는 제일 좋네요 (0) | 2018.05.02 |
비트코인 폭락 아무리 생각해도 당연한 이야기 (2) | 2018.04.29 |
체크카드 소득공제 선물같은 연말정산 (0) | 2018.04.28 |
두루누리 지원대상 영세사업자 구원하는 한줄기 빛 (0) | 2018.04.27 |
랩어카운트 비과세 ISA 비슷하면서 다르네요 (0) | 2018.04.26 |